생활정보 REVIEW

추석 설 명절 차례 제사 지내는법, 지방쓰는법

Grandpassion 2017. 10. 3. 23:55
반응형


추석 설 명절 차례 제사 지내는법과 지방쓰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추석이나 설 명절, 또는 기제사 때 우리나라에서는 유교 풍습에 따라서 전통적으로 명절에는 차례, 고인의 기일에는 제사를 지냅니다.


이 때 "지방"이라는 것을 쓰게 됩니다. 지방은 종이로 만든 신주를 뜻합니다. 


돌아가신 분의 위폐(이름과 사망날짜을 적은)를 모시고 있지 않은 경우에, 명절에 차례나 고인의 기일 제사에 조상을 기리기 위해서 종이에 쓰는 것이 지방입니다.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의 흰 종이나 한지에 붓으로 씁니다. 유교적인 풍습에 의하여 한문으로 쓰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지만, 한자를 잘 모르는 경우에는 한글로 쓰기도 합니다.






지방을 쓰는 방법은,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 자를 맨 처음으로 씁입다. 그리고 고인의 직위, 부군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 순으로 써 내려갑니다.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位).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

증조 이상에는 증(曾)자와 고(高)자를 앞에 붙입니다.


다음으로 직위를 적습니다. 직위는, 벼슬을 지냈느냐, 안 지냈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적습니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 적습니다. 집안 마다 지방을 쓰는 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여자의 경우에도 남편의 관직에 따른 호칭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없을 때는 유인(젖을 먹여 길러주신 분)이라고 씁니다.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이라고 쓰고, 여자 조상의 경우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으면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작성하면 됩니다. 신위(神位)라는 것은 신의 위치에 계시는 분이라는 뜻입니다.





아버지 顯考學生府君       神位   

■ 어머니 顯妣孺人(淸州韓氏) 神位


■ 할아버지 顯祖考學生府君      神位   

■ 할머니    顯祖妣孺人(密陽朴氏) 神位


■ 증조할아버지 顯曾祖考學生府君      神位   

■ 증조할머니    顯曾祖妣孺人(安東權氏) 神位


■ 고조할아버지 顯高祖考學生府君      神位   

■ 고조할머니    顯高祖妣孺人(慶州崔氏) 神位




■ 아버지 현 아버님 신위   

■ 어머님 현 어머님 신위


■ 할아버지 현 할아버님 신위   

■ 할머니    현 할머님    신위


■ 증조할아버지 현 증조할아버님 신위    

■ 증조할머니    현 증조할머님    신위


■ 고조할아버님 현 고조할아버님 신위    

■ 고조할머님    현 고조할머님    신위





설, 추석, 문중대제와 같이 전조상님을 모두 한번에 모셔놓고 지낼 때에는 顯 全祖上님 神位나, 한글로 현 전조상님 신위라고 한장으로 쓰면 됩니다. 그러나 집안이나 문중의 시제나 제사의 풍습 차이로 야외에서 제사를 모실 때는 지방을 쓰는 경우도 있고, 쓰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를 지내기 전에 먼저 방안에 거울이 있다면 거울을 덮어 줍니다. 방문과 대문, 현관문을 엽니다.


1. 강신제주가 먼저 향을 피우고,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사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제주만 두번 절을 합니다. 일종의 신고인 셈입니다.


※ 제주 - 제사의주인이 되는사람, 보통 장남이나 장손 또는 장녀나 장손녀

※ 집사 - 제주를 돕는 사람, 차남이나 차녀, 또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경우 숙부님들이 집사를 합니다.

※ 모사 그릇 - (퇴주 그릇) 퇴주 그릇은 술잔에 있던 술을 붓는 그릇을 말합니다.


2. 참신 제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두번 절을 합니다.


3. 초헌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주고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3번 돌리고 집사에게 줍니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위에 놓으면 제주가 두번 절을 합니다.


4. 독축 모두 꿇어앉고 제주가 축문을 읽고, 다읽은 후 모두가 두번 절을 합니다.


5. 아헌두번째로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부인 또는 고인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사람이 잔을 향불에 3번 돌리고 올린다음 두번 절을 합니다.


6. 종헌 - 세번째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자식 등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잔을 향불에 3번 돌리고 올린다음 두번 절을 합니다.


7. 유식제주가 제사상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을 합니다. 집사는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시접위에 올립니다. 그런 뒤 모두 두번 절을 합니다. 그리고 문을 닫고 나갑니다.


8. 합문 고인이 제사상을 드실 때까지 문밖에서 기다립니다.


9. 헌다국을 물리고 숭냉을 올립니다. 숭냉는 차갑고 맑은 물입니다.


10. 사신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습니다.


11. 철상 제사음식을 물립니다.


※ 문중마다 제사 풍습이 다르기 때문에 위의 절차는 각 집안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4번 독축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8번 합문이 끝나고, 9번 헌다를 하기 전에 "부복"이라고 해서 엎드려서 눈을 감고 조상님을 생각하는 묵념을 하기도 합니다. 아헌이나 종헌을 생략하고 제사에 참여한 다른 직계 가족이 절을 할 수도 있습니다.




추석 설 명절, 제사 때 지방쓰는법



남편 / 처





형 / 형수





백부모(큰아버지와 큰어머니)





부모





조부모(할아버지와 할머니)





증조부모(증조 할아버지와 할머니)





고조부모(고조 할아버지와 할머니)




유교적 풍습으로 지방쓰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현대에는 지방을 쓰는 대신 사진으로 대체 하기도 합니다. 지방은 사진이 없던 옛날에 조상님들을 모시기 위한 제례의 한 부분으로부터 시작했고, 현재에는 고인의 생전 모습을 기억하고자 지방 대신 사진을 놓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