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등락은 상승률과 하락률이 다르다
쉽게 말해서 내가 매수한 종목이 매수가로부터 -50% 하락했다면, 매수가까지 +50% 상승이 아니라 +100%가 상승해야 내 매수가까지 도달한다는 것이다.
손실률과 원금 회복에 필요한 상승률
예) 원금 10,000원 에서 50% 하락한다면 5,000원이고, 다시 5,000원 에서 100% 상승해야 원금 10,000원이 된다.
원금 10,000원 대비 -90% 하락한다면, 현재가가 1,000원이고, 1,000원으로부터 900% 상승해야 원금 10,000원이다.
위 차트는 고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 약 8년이 경과한다. 그래도 원금 10,000원이 오지 않는다.
위 차트의 선들은 필자가 직접 HTS상에서 정확한 가격대를 입력해서 그려 놓은 선들이고 숫자이다. 필자도 초보 때는 주가가 -50% 하락한 후, 다시 +50%만 상승하면 본전이 되는 줄 알았던 시절에, 공부하면서 만들어 놓은 주가의 상승률과 하락률의 비밀이다.
수학적 개념은 잘 모르겠고, 이것을 안 순간 "아뿔싸" 뒤통수를 치는 듯한 느낌이었다. 하락하면 할수록 본전으로부터 더 멀어져 가는 주식 등락률의 비밀.
어쩌다 재수 없게 저런 고점에서 물리고, 그때 빠져나오지 못하면 8년이 지나도 원금 회복은 되지 않는다. 물론 "극단적인 예"다.
그런데 "왜? 하필 그 극단적인 예가 나한테 찾아 오냐!!!" 원금 회복해 달라고 주님께, 부처님께, 알라신께, 장군님께, 심지어는 돌아가신 아버지께 빌어도 소용없다.
그래서 주식투자를 할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인가
한 종목 몰빵 하지 않기, 지인 돈 빌려다 하지 않기, 대출받아서 주식 하지 말기, 증권사 신용 미수 스탁론 쓰지 않기, 한 종목도 분할매수. 매도 하기, 세월을 견디며 긴 기간 인내하기, 주식공부를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열심히 하기, 주식을 게임처럼 생각하기!!!
'STOCK 기본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립 피셔 비싸게 사서 더 비싸게 팔아라 (8) | 2017.02.20 |
---|---|
주식 손실률과 원금 회복에 필요한 상승률 (16) | 2017.02.14 |
라운드 피겨 - 주식 매매 시 어떻게 대응 할 것인가 (17) | 2017.01.01 |
손익분기점 BEP 주식투자 손해 보고 팔지 말자 (20) | 2016.11.15 |
-
따죠파 2017.02.14 21:19
Grand Passion 님~
제 계좌에는 아직도 마이너스가 붙은 녀석들이 꽤 많이 있습니다.
매집된 종목은 반드시 간다 라는 말을 믿으며 버티고 또 버티고 있는 중입니다^^;;
잘하고 있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동안의 경험으로 봐서는 본전근처까지는 한번씩 주고 있으므로
믿음으로 버티는 중입니다.
오늘 손실률과, 원금회복에 필요한 상승률을 바라보고 있으니, 차분해(?) 지네요^^;;
제 능력치가 좀 상승된다면, 이제는 굳이 손절매를 대함에 있어서 박하게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보다 높아진 승률로 만회하면 될테니까요.
세월을 견디며 긴 시간 인내하기,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주식공부 열심히 하기.
오늘 제일 멋진 표현으로 뽑아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Grandpassion 2017.02.14 22:03 신고
댓글과 멋진 공감 감사합니다!!!
맞습니다. 손절을 한다면 최대한 짧게 하는 것이고,
가급적이면 손절을 하지 않는 것이 돈이 쌓이는 방법이겠죠. 1원이라도 이익 볼 때만 팔기.
종목의 속성을 파악해서 느린 종목은 느리게, 빠른 종목은 빠르게 대응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관건일 것입니다.
직장생활을 하시더라도 충분히 멋진 트레이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스탑로스 기능을 이용해서 전략을 구사하면 되니까요.
오히려 하루 종일 모니터 안 쳐다보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하시리라 믿습니다.
문제는 종목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고 그 종목의 성격에 따라서 대응하는 것이 매매의 본질입니다.
그러니까 전업이나 직장인이나 별 상관이 없다는 말씀을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따로 직장인을 위한 종목 선정이라는 것이 사실은 맞지 않습니다.
단 종목 수를 5개 이상 가져 가시길 권해 드립니다.
편안한 밤 되십시오 ^^
-
-
-
하이원 2017.07.08 21:08
그래서 수익매매의 관점도 중요하지만, 잃지 않는 매매의 관점에서
항상 생각하고 공부하라는 얘기들을 많이 하는가 봅니다.-
Grandpassion 2017.07.08 22:04 신고
잃지 않는 것은 곧 수익을 의미하니까요.
주식 매매는 무차별 공격보다는 방어에 치중할 때 더 유리한 것 같습니다.
-
-
광수생각 2018.01.30 22:41
표를 보니까 예전에 큰 손절이 아닌데도 몇번 연속 손절거래를 하고나면 원금회복의 엄두도 안나고 왠지 내가 바보가 된것 같은 답답함만 고구마처럼 목구멍에 걸리던 시절이 생각납니다. 주식을 게임처럼 그 말씀이 너무 좋습니다. 돈으로 생각하면 평정심이 사라지니까요. 저도 멋진 나만의 아이템을 장착하여 즐겁게 게임하겠습니다. 이렇게 좋은자료들을 아낌없이 주셔서 항상감사합니다.
-
Grandpassion 2018.01.30 22:51 신고
필자의 주식 매매 관점입니다. 주식 매매를 게임으로 생각합니다. 내가 기업에 대해서 얼마나 안다고 투자하겠습니까.
더 큰 의미로는 인생도 게임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성투를 응원합니다!!!
-
-
조영탁 2018.05.09 17:56
저는 손절을 너무못해서 탈인데요~ 손절을 못한다기 보다 어디서 손절을해야 할지를 모른다고 해야 할까요~
아직 주식 시장에서 기준이 없는듯 합니다~
최근에 시장이 엄청 안좋은데 -30%인종목이 원금회복이 되려면42%가 올라가야 한다는~ 씁쓸하네요~
결국은 공부와 노력많이 이기는 방법이겠죠~~~-
Grandpassion 2018.05.09 18:05 신고
댓글을 하루에 다섯 개 이상 달지 않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조작하는 줄 알아요. ㅎㅎ
아까도 썼는데 못 보신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만 안 지키시면 댓글 다 삭제하겠습니다.
-
-
-
Grandpassion 2018.05.13 13:03 신고
기본 원칙은, 분할 매매, 몰빵 금지, 종목 압축 금지입니다.
상승 5%, 하락 2%를 정해 놓지는 않습니다.
여러 가지 조합해서 결정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릅니다.
어떤 때는 계좌에 남아있는 종목들 다 손절할 때도 있습니다. 남은 애들 삭 다 처리해도 수익일 때. ^^
위의 방법은 필자의 방법일 뿐입니다. 매매의 기준을 정하는 것은 본인의 경험으로 터득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
-
긍정파워맨 2018.07.06 13:31
세원을 견디며 인내하기, 주식을 게임처럼 하기. 공감됩니다. 닥치는데로 주식 공부하여 주식을 게임처럼 즐기면 되는군요. 오늘도 좋을 글에 깨우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Grandpassion 2018.07.06 13:47 신고
공지사항 제목에도 있죠?
Living & Stock Trading are Playing Games.
ㅎㅎㅎㅎㅎ
-